• [전시] 국립대구박물관 <프랑스 근현대 복식, 단추로 풀다>전


  • <패션은 하늘에도 있고, 거리에도 있다>
    국립대구박물관,‘프랑스 근현대 복식, 단추로 풀다’개최




    지난 8월 15일 국립중앙박물관 “프랑스 근현대 복식, 단추로 풀다” 특별전이 성공리에 마감되어 대구에서 순회 전시를 하게 된다. 올해 5월 30일에 개최된 <프랑스 근현대 복식, 단추로 풀다> 특별전은 무더위 속에서도 짧은 기간동안 6만2천명의 관람객 수를 기록했다. 국립대구박물관(관장 권상열)은 이 전시를 이어받아 1,800여 건에 달하는 전시품을 대구에서 오는 9월9일부터 12월3일까지 약 3개월간 선보인다. 

    프랑스 장식예술박물관(Les Arts D?coratifs)과의 협력으로 이루어지는 이 특별전은 18세기에서 20세기까지 단추를 중심으로 의복, 회화, 판화, 서적, 사진, 공예 등 망라하는 1,800여 건의 전시품을 선보인다. 의복의 일부로만 취급되던‘단추’속의 세계를 들여다봄으로써 시대의 유행과 역사, 문화의 흐름을 조망하는 것이 이 전시의 주제다. 다양한 소재와 기법으로 제작된 이 단추들은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새로운 관점에서 역사와 문화, 개인과 사회를 바라보게 한다. 



     의복_1785년경 북경 비단에 자수 ⓒLes Arts D?coratifs, Paris
    의복_1785년경 북경 비단에 자수 ⓒLes Arts D?coratifs, Paris

      전시는 프롤로그, 1~3부, 에필로그 등 총 4부로 구성되었다. 프롤로그 <이미지로 본 프랑스 근현대 복식>에서는 18세기부터 1950년대까지의 유화, 판화, 포스터, 사진으로 프랑스 복식의 흐름을 조망한다. 특히 회화 작품들은 서양의 복식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한국의 관객을 위해 특별히 구성한 부분이다. 

    1부 <18세기: 단추의 황금기>에서는 절대 왕정에서 프랑스 혁명에 이르는 18세기의 프랑스 역사와 문화를 조망한다. ‘단추의 황금기’라 불리는 이 시기에는 개인과 사회를 반영한 온갖 종류의 단추가 제작되었다. 화려한 궁정 문화를 보여주는 금실, 비단, 보석 단추, 프랑스 혁명이나 노예 해방 등을 반영한 신념의 단추, 학문과 기술의 진보, 사회의 풍속과 유행 등을 반영한 세밀화 단추와 뷔퐁 단추 등을 선보인다. 2부 <19세기: 시대의 규범이 된 단추>에서는 산업화와 제국주의라는 격변의 세기를 맞이한 19세기 프랑스를 단추와 복식으로 살펴본다. 나폴레옹의 제정 시기 이래 단추는 군복과 같은 제복의 상징으로 집단 정체성의 도구였으며, 신흥 부르주아 계층의 문화 규범을 보여주는 상징이 되었다. 기계생산이나 백화점의 설립 등 근대 유럽의 생산과 소비문화의 단면 또한 단추에 잘 드러난다. 3부 <20세기: 예술과 단추>에서는 20세기 전반기까지의 프랑스 복식의 흐름을 알기쉽게 소개한다. 이 시기는 현대적 가치 마련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했는데, 단추는 의상 디자인의 핵심 요소였고, 예술가들의 내면을 반영한 중요한 표현 매체가 되었다. 여성을 코르셋에서 해방시킨 최초의 디자이너 폴 푸아레의 의상과 단추를 비롯, 코코 샤넬이 유일하게 경쟁 상대로 생각했다는 전설적인 디자이너 엘자 스키아파렐리의 의상과 작품 단추도 만나볼 수 있다.

    상의 -엘자 스키아파렐리(1890~1973) 1937년 여름 컬렉션 <듀베틴> 모직, 채색한 호도이드 나비 단추 ⓒLes Arts D?coratifs, Paris
    상의 -엘자 스키아파렐리(1890~1973) 1937년 여름 컬렉션 <듀베틴> 모직, 채색한 호도이드 나비 단추
     ⓒLes Arts D?coratifs, Paris

    에필로그 <인생의 단추>에서는 단추 수집가 로익 알리오의 단추 이야기이다. 단추에 관한 철학적 질문을 공유하며 마무리한다. 이번에 소개되는 단추들은 모두 로익 알리오의 수집품으로 그의 단추 컬렉션은 2011년 프랑스 국립문화재위원회에 의해 중요문화자산으로 지정되었다.

    <프랑스 혁명 단추>  1789년경 유리 아래 채색, 곤충, 식물, 종이를 넣은 《뷔퐁》 단추 ⓒLes Arts D?coratifs, Paris
    <프랑스 혁명 단추> 1789년경 유리 아래 채색, 곤충, 식물, 종이를 넣은 《뷔퐁》 단추 ⓒLes Arts D?coratifs, Paris

    작은 단추를 더 세밀하게 관람하도록 곳곳에 마련한 터치스크린, 시대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화려한 영상, 한국에서 별도 촬영한 18~19세기의 패션 판화집의 전자책 영상 등도 관람객의 흥미를 더한다. 이번 국립대구박물관 순회전 <프랑스 근현대 복식, 단추로 풀다> 기획특별전은 9월 09일부터 12월 03일(화)까지 국립대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전시된다. 전시는 유료(성인 9,000원)이다. 전시문의 1644-2625로하면된다.


  • 글쓴날 : [17-09-19 21:35]
    • 다른기사보기 조성희 기자의 다른기사보기